한글/Korean

Counterparts, 2017-2025

The Dialogue of Accidents and Control

by Hyun Jee Kim

  • Circle, 2017

  • Rhombuses, 2018-2019

  • Ovals, 2025

From a simple circle in 2017 to an abstract image of cockroaches in 2025, the drawings of my Counterparts series are born from my exhaustively repetitive nature — partly to indulge my neuroticism, partly to gain control, and mostly to break from my artistic habits.

Circle, 2017

Multiple pencil drawings composited into a one-minute animation.

My drawings begin in deliberate aimlessness. On a blank sheet of paper, I let my hand move freely, drawing lines without intention or orientation. I repeat the process several times on tracing paper, allowing spontaneous intersections and irregular forms to emerge. This unstructured beginning gradually reveals compositions that my conscious mind would never have created.

Once I identify a composition that resonates, I redraw it on new paper — this time with intention. I begin to control every direction, thickness, and curve drawn on the page, asserting authorship over what was once accidental.

During this shift from randomness to control, I constantly confront my own shortcomings: my habitual linework, my weariness of repetition, and my obsession with perfection. I move a line by five degrees, shift it an inch higher, or adjust its thickness until it finally feels right, whatever “right” means. I silently shout at myself, It doesn’t matter, just leave it. But I never say, No one will notice. Because drawing, for me, is a dialogue with myself. It’s not about being seen — it’s about seeing myself.

I want the result to be complex yet clean. I want it to be genius. I want it to go on and on, but then my body gives out. That’s when the drawing is done. Not complete, but done.

Circle (2017), a metamorphic drawing animation,  marked the beginning of the Counterparts series. I composited scans of my hand drawings into a one-minute digital animation.

Rhombuses (2018–2019) followed, entirely hand-drawn. Some were photographed in the woods, where shadows became part of the composition. Six years later, as I returned to the series with Ovals (2025), I finally asked myself why I fill pages with almost imperceptible differences. The answer is that I adore my own neuroticism.

In daily life, I try to contain it. Imagine missing a deadline because I had to test 296 different fonts. That kind of perfectionism doesn’t survive in the world. But when I’m working on Counterparts, I let it run free. I draw almost identical lines again and again, circling my table like a hedgehog before hibernation. Once I accepted that I adore this quality in myself, I almost felt liberated. And as each drawing nears completion, I feel a return of ownership — not only over the work, but over life itself.

Ovals (2025) was also the first of the series that I timed deliberately. I pushed myself to work faster, use full color, and commit to truly different lines. And, for once, I succeeded.

Still, I’m not ready to advertise my weirdness.
So, when people ask about Counterparts, I usually say:

“There are 86,400 seconds in a day — 86,400 choices to make. How do you know which one is right? You don’t, until you reach the end and trace the line backward. Counterparts is my attempt to navigate that uncertainty, to make peace with the choices that shape both my lines and my life.”

 — Hyun Jee Kim, 2025

Rhombuses, 2018–2019

Selected Drawings

Ovals, 2025

Selected Drawings

상응체, 2017-2025

우연과 통제의 대화

작가 김현지

  • , 2017

  • 마름모, 2018-2019

  • 타원, 2025

2017년의 단순한 원에서 2025년의 추상적인 바퀴벌레 이미지에 이르기까지, 《상응체》 시리즈의 드로잉들은 나의 강박적일 만큼 반복적인 성향에서 비롯되었다.

내 신경질적인 면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기도 하고, 통제력을 얻기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나의 예술적 습관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이다.

나의 드로잉은 무작위성에서 시작된다. 백지 위에서 손이 스스로 움직이도록 두며, 방향도 계획도 없이 선을 그린다. 같은 과정을 트레이싱(반투명)지 위에서 여러 번 반복하면, 우연한 교차와 불규칙한 형태들이 드러난다. 이러한 무작위성에 의존하는 이유는, 내 의식으로는 결코 만들어낼 수 없는 선의  조합을 찾기 위해서다.

생동감을 느끼는 조합을 찾으면, 이번에는 의도를 가지고 다시 그린다. 무작위로 생겨난 것에 작가로서의 주도권을 입히기 시작한다. 이때부터는 종이 위에 그려지는 모든 선의 방향, 두께, 형태를 철저히 통제한다. 

무질서에서 질서로 옮겨가는 이 과정 속에서, 나는 늘 나의 부족함에 좌절한다. 습관적인 그림체, 반복에서 오는 피로, 그리고 완벽함에 대한 집착에. 선을 5도만 기울이거나, 1cm 옮기거나, 두께를 살짝 조정하며 ‘올바름’을 찾아 나선다. 물론 그 ‘올바름’은 허상이다. ‘이건 쓸데없는 짓이야, 그냥 둬!’라고 속으로 외치지만 ‘그 누구도 신경 쓰지 않아.’라는 말은 하지 않는다. 드로잉은 나에게 타인에게 보이기 위한 행위가 아니라, 나 자신과의 대화이기 때문이다.

결과물이 복잡하면서도 정돈되길 바란다. 감히 천재적이기를 바라고, 끝없이 이어지기를 바라지만 결국  몸이 지쳐 멈출 때 작업도 멈춘다. 완성된 것은 아니지만, ‘끝났다’고 느껴질 때가 있다.\

〈원>(2017)은 《상응체》 시리즈의 시작이었다. 다수의 연필 드로잉을 스캔해 1분짜리 디지털 영상으로 합성했다.

그 다음 작품 〈마름모〉(2018–2019) 또한 손으로 그렸으며, 일부는 숲속에서 촬영되어 그림자까지 작품의 구성 요소가 되었다.

6년 후, 〈타원〉(2025)으로 시리즈를 재개하며 처음으로 스스로에게 물었다. 왜 나는 반복된 선으로 종이를 채우는가? 그 답은 간단했다. 나는 내 신경질적인 면을 무척 좋아한다.

일상에서는 그것을 억제한다. 예를 들어, 296개의 글씨체를 시험하느라 마감 기한을 놓친다면 세상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그러나 《상응체》를 작업할 때만큼은 그 성향을 마음껏 풀어놓는다. 거의 동일한 선을 수없이 반복하며, 책상 주변을 동면을 준비하는 고슴도치처럼 맴돈다. 어리석어 보일지 모르지만, 나의 이 성향을 좋아한다고 인정한 순간 스스로에 대한 답답함이 조금은 풀렸다. 그리고 드로잉이 완성에 가까워질수록, 작품뿐 아니라 삶 전체에 대한 통제력을 조금씩 되찾는 기분이 든다.

〈타원〉(2025)은 처음으로 시간을 재며 진행한 시리즈이기도 하다. 더 빠르게 그리기 위해 스스로를 밀어붙이고, 색을 전면적으로 사용하며, 진정으로 다른 선을 시도했다. 그리고 이번엔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다.

다만, 나는 아직 나의 이상함을 드러내고 싶지 않다. 그래서 누군가 《상응체》에 대해 묻는다면, 보통 이렇게 답한다.

“하루는 86,400초, 즉 86,400번의 선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중 어떤 것이 옳은 선택인지 알 수 없습니다. 끝에 다다라 선을 거꾸로 따라가 보기 전까지는요. 제 《상응체》는 그 불확실함에서 오는 불안함을 달래고, 나의 선택들이 내 작품과 내 삶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함께하는 것입니다.”

 — 김현지, 2025

, 2017

여러장의 연필 드로잉을 1분 애니메이션으로 합성

마름모, 2018–2019

일부 드로잉

타원, 2025

일부 드로잉

Next
Next

Dilemmas / 딜레마들